토요타 해리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토요타 해리어는 1997년 출시된 토요타의 고급 스포츠 유틸리티 자동차(SUV)로, 현재 4세대까지 판매되고 있다. 1세대는 캠리 플랫폼을 기반으로 고급 세단의 승차감과 쾌적성을 갖춘 SUV로 개발되었으며, 2003년까지 판매되었다. 2세대는 2003년부터 2013년까지 생산되었으며, 3세대는 2013년부터 2020년까지 일본 내수 시장에서 판매되었다. 4세대는 2020년 출시되었으며, 해외 시장에도 진출했다. 해리어는 다양한 가솔린 및 하이브리드 엔진을 탑재했으며, 1, 2세대는 렉서스 RX라는 이름으로 대한민국 시장에 판매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97년 도입된 자동차 - 렉서스 RX
렉서스 RX는 고급 세단의 승차감과 SUV의 실용성을 결합한 고급 크로스오버 SUV로, 혁신적인 기술 도입과 다양한 라인업 구축을 통해 꾸준히 진화해왔다. - 1997년 도입된 자동차 - 대우 누비라
대우 누비라는 1997년 출시되어 세단, 스테이션 왜건, 해치백 모델로 판매되었으며, 이탈리아 디자인으로 개발되어 넓은 실내 공간과 다양한 엔진 라인업을 갖추었고, 2002년 후속 모델 출시와 함께 단종되었다. - 토요타 자동차의 차종 - 토요타 RAV4
토요타 RAV4는 1994년 첫 출시 이후 다섯 세대에 걸쳐 생산되고 있는 콤팩트 SUV로, 전륜구동과 사륜구동 모델을 제공하며 가솔린, 디젤, 하이브리드,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등 다양한 파워트레인과 여러 차명으로 판매되고 일부는 테슬라 파워트레인을 탑재한 전기차 모델로도 출시되었다. - 토요타 자동차의 차종 - 토요타 코롤라
토요타 코롤라는 1966년 출시 이후 변화를 거듭하며 세계적인 자동차로 자리매김한 토요타의 준중형차로, 다양한 파생 모델과 모터스포츠 활동을 통해 폭넓은 소비자층을 확보했다. - 하이브리드 차량 - 현대 그랜저
현대 그랜저는 1986년 출시된 현대자동차의 고급 승용차 브랜드이며, 7세대에 걸쳐 진화하며 대한민국 자동차 시장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 하이브리드 차량 - 현대 쏘나타
현대 쏘나타는 1985년 출시 이후 전륜구동 방식으로 전환, 디자인과 성능을 개선하며 다양한 파워트레인을 탑재한 현대자동차의 대표적인 중형 베스트셀링카이다.
토요타 해리어 - [자동차]에 관한 문서 | |
---|---|
차량 개요 | |
![]() | |
제조사 | 토요타 자동차 |
다른 이름 | 렉서스 RX (1998–2013) 토요타 벤자 (북미, 2020–2023; 중국, 2020–현재) |
생산 기간 | 1997년 12월 – 현재 |
차급 | 준중형 크로스오버 SUV (1997–2003) 중형 크로스오버 SUV (2003–현재) |
차체 스타일 | 5도어 SUV |
구동 방식 | 전륜구동 사륜구동 |
기본 정보 | |
차체 형태 | 5도어 크로스오버 SUV |
구동 방식 | 전륜구동 / 사륜구동 |
다른 이름 | 렉서스 RX(초대, 2세대) 토요타 벤자(4세대) |
차종 | |
제조사 | 토요타 자동차 |
다른 이름 | 렉서스 RX |
생산 년도 | 1997년~현재 |
조립 | 일본 아이치현 다하라시 일본 아이치현 도요타시 |
차체 형식 | 5도어 스테이션 왜건 |
구동 방식 | 전륜구동 4륜구동 |
연료 | 가솔린 |
관련 차량 | 렉서스 RX 렉서스 ES 토요타 캠리 토요타 아발론 토요타 시에나 토요타 벤자 토요타 하이랜더 |
2. 역사
1997년 초대 모델이 출시된 이후 토요타 해리어는 고급 크로스오버 SUV라는 새로운 장르를 개척한 선구적인 모델로 평가받고 있다. 일본 내수 시장은 물론 해외 시장에서도 렉서스 RX라는 이름으로 판매되며 토요타를 대표하는 고급 SUV로 자리매김했다.
1세대와 2세대 모델은 해외에서 렉서스 RX로 판매되었으나, 2009년 3세대 RX가 일본 시장에 렉서스 브랜드로 출시된 이후에도 2세대 해리어는 일본 내에서 계속 판매되었다. 3세대 해리어는 RX와는 완전히 다른, 일본 내수 전용 모델로 개발되었다. 4세대 해리어는 역대 해리어 중 처음으로 해외 시장에 진출하여 판매되고 있다.
2. 1. 1세대 (1997년~2003년)
1997년 12월에 출시되었다. 캠리 (6세대)의 플랫폼을 바탕으로 개발되었으며, 고급 세단의 승차감과 쾌적성을 겸비한 SUV로 개발되어 승용차 베이스의 고급 SUV라는 새로운 장르를 개척했다. 엔진은 V형 6기통 3,000cc 가솔린 엔진과 직렬 4기통 2,200cc 가솔린 엔진 등 2가지였다. 구동 방식 역시 전륜구동과 4륜구동 등 2가지로 나뉘었고, 트랜스미션은 4단 자동변속기만 탑재되었다.[19] 2000년에는 직렬 4기통 2,200cc 가솔린 엔진이 직렬 4기통 2,400cc 가솔린 엔진으로 대체되었다.

1998년 6월에는 특별 사양차 “하리어 자가토 (ZAGATO)”가 등장했다. V6 모델을 기반으로 전용 알루미늄 휠과 오버 펜더 등을 장착했으며, 이탈리아의 카로체리아인 자가토사와의 협업 모델이다.
2000년의 마이너 체인지로, 직렬 4기통 엔진을 2,200 cc에서 2AZ-FE형 2,400 cc로 변경하였다. 또한 기본 등급 이외에 디스차지 헤드램프를 채용 (후에 기본 등급에도 디스차지 헤드램프를 탑재한 특별 사양차 "프라임 셀렉션"이 발매)했다. 우량 저 배출 가스 인증을 받았다.
광고의 캐치프레이즈는 "'''WILD but FORMAL'''" 이었으며, 젊은 신사가 사자의 머리를 한 이미지 캐릭터가 되어 "승용차 기반의 럭셔리 크로스오버 SUV"라는 새로운 장르를 표현했다.
2003년 1월에 생산 종료. 재고 대응분만 판매하였으며, 2003년 2월에 2세대로 교체되는 형태로 판매 종료되었다.
일본 외에서는 초대 모델과 2세대 모델이 같은 회사의 "'''렉서스'''" 브랜드에서 "'''RX'''"로 판매되었다.
2. 2. 2세대 (2003년~2013년)
2003년 2월에 풀 모델 체인지를 거쳤다. 1세대와 동일하게 V형 6기통 3,000cc 가솔린 엔진 (5단 자동변속기)과 직렬 4기통 2,400cc 가솔린 엔진 (4단 자동변속기)을 탑재했으며, 구동 방식 역시 전륜구동과 4륜구동 두 가지였다.[20] 전자 제어 에어 서스펜션, 파노라마 선 루프, 운전석 무릎 에어백 등 고급 사양이 적용되었다.

2005년에는 직렬 4기통 2,500cc 가솔린 하이브리드 사양이 추가되었다. 2006년 1월에는 V형 6기통 3,000cc 가솔린 엔진이 V형 6기통 3,500cc 가솔린 엔진으로 대체되었다.[20]
2009년 1월에 렉서스 RX (3세대)가 일본에 출시되었음에도 불구하고, 2세대 해리어는 2013년 7월까지 일본 내에서 계속 생산 및 판매되었다.[20]
2세대 모델의 등급은 다음과 같다.
등급 | 엔진 | 특징 |
---|---|---|
AIRS 3,500cc | 18인치 알루미늄 휠(에어로 링 포함) 기본 장착, 에어 서스펜션 기본 장착 (최고급 등급) | |
G "프리미엄 L 패키지" 3,500cc / 2,400cc | 18인치 알루미늄 휠(슈퍼 크롬 메탈릭), JBL 프리미엄 사운드 시스템 기본 장착, AIRS 기본 장착품 옵션 장착 가능 | |
G "L 패키지" 3,500cc / 2,400cc | 17인치 알루미늄 휠(슈퍼 크롬 메탈릭) 기본 장착, 크루즈 컨트롤 등 장착 불가 | |
G 3,500cc / 2,400cc | 크롬 메탈릭 가공이 되지 않은 17인치 알루미늄 휠 기본 장착, 나무 무늬 핸들 미장착, 가죽 스티어링 휠 기본 장착 (기본 등급) |
2. 3. 3세대 (2013년~2020년)
3세대 해리어는 렉서스 RX와는 별개의 일본 내수 전용 모델로 개발되었다.[42] 2013년 7월에 이미지가 공개되었고,[43] 같은 해 11월 도쿄 모터쇼에서 최초로 선보인 후 12월부터 판매를 시작했다.이전 세대에 비해 다운사이징을 거쳐 직렬 4기통 2.0L 가솔린 엔진, 2.5L 가솔린 엔진 및 2.5L 가솔린 하이브리드 엔진을 탑재했다. 모든 엔진에는 무단변속기가 조합되며, 구동 방식은 전륜구동과 4륜구동 두 가지로 판매되었다. XA30 시리즈 뱅가드도 대체했다.
2017년 6월 8일 페이스리프트를 거치면서 디자인이 변경되고, 2.0L 가솔린 터보 엔진이 추가되었다. 페이스리프트 모델은 2.0리터 터보 ''8AR-FTS'' 엔진과 6단 ''U661'' 자동변속기가 결합되었으며, 2.0리터 자연 흡기 ''3ZR-FAE'' 및 2.5리터 ''2AR-FXE'' 하이브리드 엔진은 그대로 유지되었다.
토요타 세이프티 센스 P 안전 시스템(어댑티브 크루즈 컨트롤, 차선 이탈 방지 보조, 충돌 회피 시스템 및 자동 하이빔)이 모든 트림에 기본 적용되었다.
3세대 해리어는 일본 외에 싱가포르와 말레이시아에서도 판매되었다.[4]




차대 코드 | 엔진 | 변속기 | 출력 | 토크 | 생산 년도 | |
---|---|---|---|---|---|---|
가솔린 엔진 | ||||||
ZSU60 (FF) ZSU65 (4WD) | 1,986 cc 3ZR-FAE DOHC 16밸브 EFI 직렬 4기통 엔진, 듀얼 VVT-i 및 밸브매틱 | 슈퍼 CVT-i (7단 시뮬레이션) | 111kW / 6,100 rpm | 193Nm / 3,800 rpm | 2013–2020 | |
ASU60 (FF) ASU65 (4WD) | 1,998 cc 8AR-FTS DOHC 16밸브 EFI 터보차저 직렬 4기통 엔진, VVT-iW 및 D-4ST | 6단 U661 자동 | 170kW / 5,200–5,600 rpm | 350Nm / 1,650–4,000 rpm | 2017–2020 | |
하이브리드 엔진 | ||||||
AVU65 (4WD) | 2,493 cc 2AR-FXE DOHC 16밸브 EFI 직렬 4기통 엔진, VVT-iE | eCVT | 112kW / 5,700 rpm | 206Nm / 4,400–4,800 rpm | 2013–2020 |
2. 4. 4세대 (2020년~)


4세대 해리어는 2020년 4월 13일에 처음 공개되었고, 6월 17일에 출시되었다.[6][7] 1세대와 2세대가 일본 외 국가에서 렉서스 RX로 판매된 것과 달리, 4세대 해리어는 역대 해리어 중 최초로 해외 시장에 진출하였다. 전륜구동 플랫폼은 TNGA-K 플랫폼을 기반으로 하며, RAV4와 플랫폼을 공유한다.
이전 모델과 비교하여 너비는 20mm, 휠베이스는 30mm 증가했으며, 높이는 30mm 감소했다. 이전 세대와 달리 4세대에서는 터보차저 엔진 옵션을 사용할 수 없다.
2022년 9월에는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모델이 일본에서 Z 등급으로 출시되었다. 이 모델은 RAV4 PHEV와 동일한 시스템을 공유한다.[8]
4세대 해리어는 2021년 1월 29일 싱가포르에서 출시되었으며[9], 일반 가솔린 엔진은 엘레강스 트림, 하이브리드 엔진은 프리미엄 및 럭셔리 트림으로 제공된다. 2021년 4월 8일에는 말레이시아에서도 출시되었으며[10], 2.0L M20A-FKS 엔진 및 CVT와 함께 단일 럭셔리 트림으로 제공된다. 또한 해리어와 벤자라는 이름으로 중국 시장에도 진출했다.[11]
해리어는 2020년 5월 18일 북미 시장에서 2세대 벤자로 공개되었다.[12] 북미 시장용 벤자는 4륜구동 하이브리드 파워트레인만 제공되며, 2020년 9월에 판매를 시작했다.[13] 해리어와 달리 모든 트림에서 그릴 장착 안개등이 없다. 북미 시장용 2세대 벤자는 토요타 자동차 제조 켄터키에서 생산되었던 1세대 모델과 달리, 타카오카 공장에서 해리어와 함께 일본에서 생산된다.[14][15] LE, XLE, Limited 트림으로 제공된다.
벤자는 광저우 공장에서 생산되어 광저우 토요타를 통해 중국에서도 판매된다. 톈진 공장에서 생산되어 FAW 토요타를 통해 판매되는 해리어와는 전면부 디자인이 다르며, 중국은 벤자와 해리어 모델을 모두 제공하는 유일한 국가이다.[11]
4세대 해리어는 다음과 같은 엔진 라인업을 갖추고 있다.
엔진 종류 | 엔진 형식 | 배기량 | 최고 출력 (엔진) | 최고 출력 (시스템) | 비고 |
---|---|---|---|---|---|
가솔린 | M20A-FKS | 1986cc | 일본 내수용 | ||
가솔린 | M20D-FKS | 1986cc | 중국 시장 | ||
가솔린 하이브리드 | A25A-FXS | 2487cc | 일본 내수용 | ||
가솔린 하이브리드 | A25F-FXS | 2487cc | 중국 시장 | ||
가솔린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 A25A-FXS | 2487cc |
토요타 해리어는 각 세대별로 독특한 디자인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시대의 흐름에 따라 진화해 왔다.
3. 디자인
1세대 (1997-2003)1997년 12월에 출시된 1세대 해리어는 캠리(6세대)의 플랫폼을 기반으로 제작되었다. 광고에서는 "'''WILD but FORMAL'''"이라는 캐치프레이즈와 함께 젊은 신사가 사자 머리를 한 이미지 캐릭터를 사용하여, "승용차 기반의 럭셔리 크로스오버 SUV"라는 새로운 장르를 표현했다.
1998년 6월에는 특별 사양차 “하리어 자가토 (ZAGATO)”가 등장했다. V6 모델을 기반으로 전용 알루미늄 휠과 오버 펜더 등을 장착했으며, 이탈리아의 카로체리아인 자가토사와의 협업 모델이었다.
2세대 (2003-2013)2003년 2월 17일에 출시된 2세대 해리어는 "'''ALL ROUND WINNER'''"라는 캐치프레이즈를 사용했다.
2006년에는 250대 한정으로 토요펫 50주년 기념 특별 사양차 "하리아 자가토(ZAGATO)"가 등장했다. 1세대와 마찬가지로 자가토 사와의 콜라보레이션 모델이었으며, 개량 내용도 1세대와 거의 같았다. 레드 마이카 메탈릭은 전용 색상이었으며(그 외 화이트 펄 크리스탈 샤인, 블랙도 설정), V6 외에 직렬 4기통도 선택 가능했다.
2008년 1월 10일 특별 사양차 "하리아 240G L 패키지 알칸타라 프라임 버전"이 등장했다. L 패키지에 더해 18인치 알루미늄 휠, 3버튼 무선 도어 록 리모트 컨트롤, 파워 백 도어, 본가죽 및 알칸타라 사양의 전용 시트, 조수석 4way 멀티 어저스터블 파워 시트, 컵 홀더 및 수납 박스 부착 리어 센터 암 레스트, 알칸타라 사양의 전용 차량 검사증 케이스, LED 하이 마운트 스톱 램프 부착 컬러 리어 스포일러를 채용하고, HDD 내비게이션 시스템 등을 특별 장비하여 고급스러움을 더했다.
3세대 (2013-2020)2013년 12월 2일에 출시된 3세대 해리어는 이전 모델의 수평 기조 프로포션을 계승하면서 리어 쿼터 필러를 앞으로 기울여, 더욱 날렵하고 역동적인 디자인을 선보였다. 프론트 디자인은 범퍼 코너부를 뒤로 당겨 프론트 오버행의 볼륨을 억제하면서 입체적이고 깊이 있는 조형으로 만들었다. LED 헤드램프, 3개의 라인 모양으로 발광하는 클리어런스 램프, 빛의 강약에 그라데이션을 준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 흰색 LED 번호등을 통해 스포티한 디자인을 강조했다.
보디 컬러는 "스파클링 블랙 펄 크리스탈 샤인"을 비롯한 다크 컬러 계열 5색 등 총 7색, 내장 색상은 "딥 보르도"를 포함한 3가지 다크 컬러 계열로 구성되었다.
2014년 12월 22일에는 "G's" 모델이 설정되었다. GAZOO Racing의 테스트 드라이버가 튜닝하여 핸들링 성능을 향상시키고, 전용 프론트 범퍼 및 그릴, LED 일루미네이션 빔, 리어 범퍼, 머플러 등을 채용했다. 또한, 해리어 최초로 235/50R19 타이어와 전용 알루미늄 휠을 조합하고, G's 전용 스포티 시트와 다크 메탈릭 도장 가공을 한 인스트루먼트 패널 및 센터 클러스터 패널을 적용했다.
2017년 6월 8일 마이너 체인지에서는 프론트 및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 디자인을 변경하고, "다크 레드 마이카 메탈릭"과 "다크 블루 마이카 메탈릭"을 추가하여 총 6가지 외장 색상을 제공했다. 내장에는 "블랙 × 레드", "다크 새들 탄" 색상이 추가되었고, "흑목×기하학조" 가공을 적용했다.
2017년 9월 19일에는 "G's"를 대체하는 스포츠카 시리즈 "GR"이 추가되었다.
4세대 (2020-현재)2020년 6월 17일에 출시된 4세대 해리어는 쿠페형 SUV 스타일을 강조하여 날렵하고 세련된 디자인을 선보였다. 이전 모델에 비해 너비와 휠베이스는 증가한 반면, 높이는 감소했다. 조광 파노라마 루프, 디지털 이너 미러 등 첨단 디자인 요소가 적용되었다.
3. 1. 1세대
1997년 12월에 출시되었다. 캠리(6세대)의 플랫폼을 바탕으로 개발되었으며, 고급 세단의 승차감과 쾌적성을 겸비한 SUV로 개발되어 승용차 베이스의 고급 SUV라는 새로운 장르를 개척했다.[19] 엔진은 V형 6기통 3,000cc 가솔린 엔진과 직렬 4기통 2,200cc 가솔린 엔진 등 2가지였다. 구동 방식 역시 전륜구동과 4륜구동 등 2가지로 나뉘었고, 트랜스미션은 4단 자동변속기만 탑재되었다. 2000년에는 직렬 4기통 2,200cc 가솔린 엔진이 직렬 4기통 2,400cc 가솔린 엔진으로 대체되었다.
3. 2. 2세대
2003년 2월에 풀 모델 체인지를 거쳤다. 1세대의 디자인 기조를 유지하면서 더욱 세련되고 현대적인 디자인으로 개선되었다. V형 6기통 3,000cc 가솔린 엔진(5단 자동변속기)과 직렬 4기통 2,400cc 가솔린 엔진(4단 자동변속기)을 얹은 건 1세대와 동일했다. 구동 방식 역시 전륜구동과 4륜구동 등 2가지로 나뉘었다. 전자 제어 에어 서스펜션, 파노라마 선 루프, 운전석 무릎 에어백 등이 적용되었다. 2005년부터는 직렬 4기통 2,500cc 가솔린 하이브리드 사양도 추가되었다. 2006년 1월에 일부 개량되어 V형 6기통 3,000cc 가솔린 엔진이 V형 6기통 3,500cc 가솔린 엔진으로 대체되었다. 일본에서는 2009년 1월에 렉서스 RX (3세대)가 출시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계속 생산되다가 2013년 7월에 단종되었다.[20]2003년 2월 17일에 풀 모델 체인지하여 발매되었다. 캐치프레이즈는 ''''ALL ROUND WINNER''''였다. 일본 내 월간 판매 대수는 2,500대, 일본 외 월간 판매 대수는 9,000대를 목표로 했다. V형 6기통 3,000cc 또는 직렬 4기통 2,400cc 엔진, 5단 AT(3,000 cc) 또는 4단 AT (2,400 cc) 변속기가 적용되었다. 구동 방식은 1세대와 마찬가지로 4WD와 FF의 2가지였다. V6 3,000cc의 최상위 등급(AIRS)에는 전자 제어 에어 서스펜션을 탑재하고, 레이더 크루즈 컨트롤에 사용되는 밀리파 레이더를 병용하는 자동차 장비로 세계 최초인 프리 크래시 세이프티 시스템을 옵션으로 선택할 수 있었다.
2006년 1월 10일에는 일부 개량되었다. 1MZ-FE 엔진을 폐지하고, 신개발 3,500cc 2GR-FE 엔진을 채용했다. 350G의 2WD 차량에 VSC&TRC를 기본 장착하고, 240G와 350G에는 광축 조절용 오토 레벨링 기구가 달린 디스차지 헤드램프를 설정하여 모든 차량에 기본 장착했다. 모든 차량에 안전 벨트 경고 부저, 2면식 보조 확인 장치, 무선 도어 록 대응 키 3개(기존에는 1개)를 기본 설정, 카 내비게이션을 HDD 타입으로 변경하는 등 장비를 대폭 개선했다.
2005년부터 하이브리드 사양의 하리아 하이브리드도 라인업에 추가되었다. 3,300cc의 V6 엔진과 고출력 모터를 조합하여 높은 가속 성능과 저연비를 양립시켰다. 월간 판매 목표는 500대로 발표되었다.
2006년에는 250대 한정으로 토요펫 50주년 기념 특별 사양차 "하리아 자가토(ZAGATO)"가 등장했다. 선대와 마찬가지로 자가토 사와의 콜라보레이션 모델로, 개량 내용도 선대와 거의 같았다. 레드 마이카 메탈릭은 전용 색상(그 외 화이트 펄 크리스탈 샤인, 블랙도 설정)이었으며, V6 외에 직렬 4기통도 선택 가능했다.
2008년 1월 10일 특별 사양차 "하리아 240G L 패키지 알칸타라 프라임 버전"이 등장했다. L 패키지의 장비에 더해, 18인치 알루미늄 휠, 3버튼 무선 도어 록 리모트 컨트롤(키 일체형 표준차 2버튼), 파워 백 도어, 본가죽(사이드 + 암 레스트) & 알칸타라 사양(메인 + 헤드 레스트)의 전용 시트 표피, 조수석 4way 멀티 어저스터블 파워 시트, 컵 홀더 · 수납 박스 부착 리어 센터 암 레스트, 알칸타라 사양의 전용 차량 검사증 케이스, LED 하이 마운트 스톱 램프 부착 컬러 리어 스포일러(표준차는 블랙 스포일러)를 채용했다. 또한 특별 색상으로 라이트 블루 마이카 메탈릭을 준비했으며, HDD 내비게이션 시스템(음성 가이드 기능 포함 컬러 백 가이드 모니터) 등을 특별 장비하여 더욱 고급스러운 사양이 되었다.
2009년 1월에는 하리아의 렉서스 브랜드 버전인 "렉서스 RX"의 3세대가 일본 시장에 투입되었지만, 2세대 하리아는 이후에도 판매가 지속되었다(3,500cc 모델은 폐지).
2009년 8월 18일에는 "240G"를 기반으로, 스위치 조작으로 백 도어를 자동으로 완전 개폐할 수 있는 파워 백 도어(끼임 방지 기능 포함)와 "L 패키지"에서 인기가 높은 운전석 멀티 8웨이 멀티 어저스터블 시트(전동 럼버 서포트 포함), 4:2:4 분할 가변식 시트, 시트 표피(자카드 직물)를 채용하여 고급스러움을 연출한 특별 사양차 "240G "L 패키지·Limited""를 발매했다.
2011년 10월 3일에는 "240G"를 기반으로, 알칸타라의 전용 시트 표피 및 전용 차량 검사증 케이스, 나무 무늬 + 본가죽 3 스포크 스티어링 휠, 시프트 레버&노브를 채용하고, 스위치 조작으로 백 도어를 완전 개폐할 수 있는 파워 백 도어(끼임 방지 기능 포함), 8웨이 멀티 어저스터블 시트(전동 럼버 서포트 포함), 수퍼 크롬 메탈릭 도장을 한 17인치 알루미늄 휠을 장착하여 매력적인 사양인 특별 사양차 "240G"L 패키지·ALCANTARA Selection""을 발매했다.
3. 3. 3세대
2013년 7월에 이미지가 공개되었으며,[42] 같은 해 11월에 개최된 도쿄 모터쇼에서 최초로 선보였다.[43] 판매는 같은 해 12월부터 시작되었다. 3세대 해리어는 직렬 4기통 2,000cc 가솔린 엔진, 직렬 4기통 2,500cc 가솔린 엔진, 그리고 직렬 4기통 2,500cc 가솔린 하이브리드 엔진을 탑재하여 이전 세대에 비해 다운사이징을 하였다. 모든 엔진에는 무단변속기가 조합되며, 구동 방식은 전륜구동과 4륜구동 두 가지로 판매된다. 렉서스 RX(3세대)와는 별개의 차종으로 일본 내에서만 판매되었다.2017년 6월 8일에 페이스리프트를 거치면서, 더욱 날렵하고 역동적인 디자인으로 변경되었다. LED 헤드램프와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 등 고급스러운 디테일이 적용되었다.
구분 | 2.0 L 가솔린 | 2.0 L 터보 | 2.5 L 하이브리드 |
---|---|---|---|
엔진 형식 | 3ZR-FAE형 | 8AR-FTS형 | 2AR-FXE형 |
배기량 | 1,986 cc | 1,998 cc | 2,493 cc |
최고 출력 | 111 kW (151 PS) / 6,100 rpm | 170 kW (231 PS) / 5,200 - 5,600 rpm | 엔진: 112 kW (152 PS) / 5,700 rpm, 프론트 모터: 105 kW (143 PS), 리어 모터: 50 kW (68 PS), 시스템 최고 출력: 145 kW (197 PS) |
최대 토크 | 193 N·m (19.7 kgf·m)/ 3,800 rpm | 350 N·m (35.7 kgf·m)/ 1,650 - 4,000 rpm | 엔진: 206 N·m (21.0 kgf·m)/ 4,400 - 4,800 rpm, 프론트 모터: 270 N·m (27.5 kgf·m), 리어 모터: 139 N·m (14.2 kgf·m) |
변속기 | 슈퍼 CVT-i | 6단 AT (6 Super ECT) | 전기식 무단 변속기 |
3. 4. 4세대
4세대 해리어는 2020년 4월 13일에 처음 공개되었고, 6월 17일에 출시되었다.[6][7] 1세대와 2세대가 일본 외 국가에서 렉서스 RX로 판매된 것과 달리, 4세대 해리어는 역대 해리어 중 최초로 해외 시장에 진출하였다. TNGA-K 전륜구동 플랫폼을 기반으로 하며, RAV4와 플랫폼을 공유한다.[6][7]4세대 해리어는 쿠페형 SUV 스타일을 강조하여 날렵하고 세련된 디자인을 선보였다. 이전 모델에 비해 너비와 휠베이스는 각각 20mm, 30mm 증가한 반면, 높이는 30mm 감소했다. 조광 파노라마 루프, 디지털 이너 미러 등 첨단 디자인 요소가 적용되었다.
일본 내수 시장에서는 S, G, Z 트림으로 판매되며, G와 Z 트림에는 가죽 패키지를 선택할 수 있다. 2022년 9월에는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모델이 Z 트림으로 추가되었다.[8]
4세대 해리어는 아시아 시장에도 진출하여, 2021년 1월 29일 싱가포르에서 출시되었다.[9] 싱가포르에서는 일반 가솔린 엔진의 엘레강스 트림과 하이브리드 엔진의 프리미엄 및 럭셔리 트림으로 판매된다. 2021년 4월 8일에는 말레이시아에서도 출시되었으며, 2.0리터 ''M20A-FKS'' 엔진과 CVT가 탑재된 럭셔리 트림으로 판매된다.[10] 중국에서는 해리어와 벤자 두 가지 이름으로 판매된다.[11]
4세대 해리어의 주요 제원은 다음과 같다.
항목 | 내용 |
---|---|
모델 코드 | XU80 |
별칭 | 토요타 벤자 (북미, 중국, 광저우 토요타) |
생산 기간 | 2020년 6월 – 현재 |
조립 | (아이치현 도요타시 다카오카 공장), (창춘 (FAW 토요타)) |
디자이너 | 혼다 노부히코, 권순우, 코야마 히데오, 이구치 다이스케[5] |
플랫폼 | GA-K[6][7] |
관련 차종 | 렉서스 NX(AZ20), 토요타 RAV4(XA50) |
엔진 | 가솔린: 1986 cc M20A-FKS I4 (MXUA80/85) 1986 cc M20D-FKS I4 (중국) 가솔린 하이브리드: 2487 cc A25A-FXS I4 (AXUH80/85) 2487 cc A25F-FXS I4 (중국) 가솔린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2487 cc A25A-FXS I4 (AXUP80/85) |
모터 | 3NM 동기식 (전면, 하이브리드) 4NM 동기식 (후면, 하이브리드) 5NM + 4NM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
출력 | (M20A-FKS/M20D-FKS) (A25A-FXS, 가솔린 엔진 전용), (A25A-FXS, 결합 시스템 출력)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결합 시스템 출력) |
변속기 | K120 CVT (물리적 1단 기어 포함, 가솔린) eCVT (하이브리드) |
구동 방식 | 파워 분할 |
배터리 | 니켈 수소 배터리 (하이브리드) 리튬 이온 배터리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
휠베이스 | |
길이 | |
너비 | |
높이 | |
무게 |
4. 기술
3세대 해리어는 플랫폼과 기본 부품을 4세대 RAV4와 공유하며, 이전 모델에서 독립되었던 "해리어 하이브리드"를 "해리어"로 통합하여 가솔린차와 하이브리드차의 등급 구성을 동일하게 만들었다. 외관은 해리어의 전통적인 수평 기조를 계승하면서 리어 쿼터 필러를 전경시키고, LED 헤드램프를 전 차종에 기본 장착했다.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는 빛의 강약에 그라데이션을 준 참신한 조형으로 디자인되었고, 번호등도 흰색 LED로 변경되어 스포티한 디자인을 강조했다.[21]
파워트레인은 전면 쇄신되어 다운사이징되었으며, 가솔린차는 밸브매틱을 갖춘 2.0L 3ZR-FAE형 엔진과 CVT (Super CVT-i)를 채택하고 아이들링 스톱 시스템을 기본 장착했다. 하이브리드차는 2.5L 2AR-FXE형 엔진을 탑재하고 "감속 기구 부착 THS II"를 채용하여 연비를 향상시켰다. 최소 회전 반경을 5.3m로 줄이고 뒷좌석 무릎 앞 공간을 확대하여 여유로운 실내 공간을 확보했다. 러기지 스페이스는 쇼크 업소버 배치를 변경하여 9.5인치 골프 백 4개를 수납할 수 있도록 개선되었고, 데크 보드 아래에도 수납 공간을 마련했다.[21]
센터 콘솔 내에는 Qi(치) (무선 충전, NTT 도코모 등록 상표) 대응 기기를 충전할 수 있는 "오쿠다케 충전"이 설치되었고, 가솔린차에는 토요타 최초로 축냉 증발기를 갖춘 에어컨이 채택되어 아이들링 스톱 시에도 냉기를 더 오래 유지할 수 있게 되었다. 파노라믹 뷰 모니터(좌우 확인 지원 포함)를 채용하여 운전석에서 확인하기 어려운 차량 주변 상황을 확인할 수 있게 했다.[21]
4세대 모델에서는 앞 좌석부터 뒷좌석 머리 위까지 덮는 큰 유리에 토요타 최초로 조광 기능을 갖춘 조광 파노라마 루프가 채용되었다. 플랫폼은 5세대 RAV4와 공통의 GA-K 플랫폼을 사용했다. 파워트레인은 토요타 다이나믹 포스 엔진 채용으로 전면 쇄신되었고, 가솔린차는 M20A-FKS형, 하이브리드차는 A25A-FXS형 엔진을 탑재했다. 3세대 모델의 터보 엔진차는 폐지되었다. 하이브리드차는 E-Four 외에 2WD가 신설되었고, 2022년 9월 일부 개선에서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차량이 추가되었다.[34][35][40]
예방 안전 패키지 "Toyota Safety Sense"는 프리 크래시 세이프티가 보행자(주야간) 및 주간 자전거 운전자도 감지할 수 있게 개선되었고, 2022년 9월 일부 개선을 통해 교차로 우회전 시 대향 직진차 및 좌우회전 시 대향 방향에서 횡단하는 보행자 감지 기능도 추가되었다. 디지털 이너 미러에는 전후방 녹화 기능이 새롭게 탑재되었다.[34][35][40]
4. 1. 파워트레인
ZSU65 (4WD)ASU65 (4WD)